소품집

[KT AIVLE] 네트워크 기초 - 패킷과 라우터 본문

AI/KT 에이블스쿨

[KT AIVLE] 네트워크 기초 - 패킷과 라우터

sodayeong 2022. 10. 4. 00:30

네트워크

1. 패킷의 처리

인터넷은 여러 네트워크의 연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여러개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올바른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라우팅(경로 설정)이며 이는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적인 기능이다.

 

1) 패킷의 발송

  • IP 패킷이 네트워크가 통과 시킬 수 있는 최대 바이트보다 클 경우에는 단편화(Fragmentation) 전송하게 되는데 그 단표화 정보도 IP 패킷의 헤더에 저장하여 보내게 된다.

2) 최종 목적지

  • 단편화된 패킷을 받은 목적지에서는 다면, 단편들을 모아서 하나의 온전한 패킷을 조립한다. 여기서 만약 하나의 온전한 패킷으로 조립이 불가능 하다면 모두 폐기시키고 이를 송신지에게 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세지를 보내게 된다.

 

2. 패킷의 전달

 

1) 직접 전달(Direct Delivery)

-  패킷의 송신지와 목적지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때 직접 전달하는 경우

 

2) 간접 전달 (Indirect Delivery)

-  발신지와 목적지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할 때 → 라우터에서 라우터로 전달되는 경우

 

 

3. 라우터

라우터는 OSI 7계층 중 3계층 (Network Layer)에서 동작하는 장비다.

라우팅 테이블

주요 역할은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주소의 경로를 지정해준다.

라우터마다 여러 경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들어오는 패킷이 어떻게 하면 최적의 경로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 파악하여 포워딩한다.

이를 위해 라우터는 다양한 경로를 수집하며, 라우팅 테이블에 위 정보를 수집한다.

 

 💡 라우팅 테이블이 잘 못 만들어지면 최종 목적지로 갈 수 없음

> 잘 만들어지면 효율적으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1)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이를 판단해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게 된다.

2) 패킷의 전달 방법

  • 이웃노드 명시
    • 라우팅 테이블은 전체 경로상의 라우터를 명시하지 않고 다음 라우터만 명시한다.

A > R1 > R2 > B 와 같이 전체 경로를 명시하는 것이 아니라 A는 R1만 명시함

  • 네트워크 주소 명시 (Network Specific Method)
    • IP 주소는 크게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 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ID를 기반으로 호스트 ID를 할당하기 때문에 만약 특정 기관이라면 그 안에 있는 모든 컴퓨터들은 네트워크 ID가 모두 동일하게 된다.
    • 따라서 목적지로 IP 패킷을 전달할 때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하나하나 모두 명시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지 네트워크만 명시하여 보내는 것을 네트워크 주소 명시라고 한다.
    • 이처럼 간단하게 표기하게 되면 테이블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고 이 효과로 빠른 검색과 메모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호스트 주소 명시 (Host Specific Method)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경우라면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컴퓨터 주소를 직접 명시할 수 있다.

> 관리자가 직접 입력해야 함 (ex. 보안 목적 등..)

 

  • 디폴트 지정 (Default Method)
    • 인터넷에 있는 모든 목적지를 지정할 수 없음!
    • 지정된 목적지 이외의 모든 지역을 지정하는 라우팅 엔트리를 디폴트라고 한다. (내가 지정한거 이외에는 다 ~로 보냄. )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