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품집

ARMA model - 자기회귀이동평균 본문

Time series

ARMA model - 자기회귀이동평균

sodayeong 2020. 6. 22. 21:14
728x90

13장 (ARMA model)


Backward shift operator, 후진 연산자(B)


시계열 데이터의 래그(lag,L = 이전 시점 데이터)값을 표현

ARMA


자기회귀이동평균 (AR+MA)

위 식을 전개하기 전의 식은 yt=AR(p)+MA(q)로 쓸 수 있게 된다.

  • ARMA(p,q) 모형은 AR(p) 모형과 MA(q) 모형의 특징을 모두 가지는 모형을 말한다. 즉 p개의 자기 자신의 과거값과 q개의 과거 백색 잡음의 선형 조합으로 현재의 값이 정해지는 모형이다.
    • Yt=−ϕ1Yt−1−ϕ2Yt−2−⋯−ϕpYt−p+ϵt+θ1ϵt−1+θ2ϵt−2⋯+θqϵt−q
  • 제약조건은 이 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하며, 모수 값을 적게 가져가는 모델을 더 높히 평가하는 추세임.

ARMA 모형 시뮬레이션


ARMA(1,1) 모형

  • ARMA(1,1) 모형 (Φ1 > 0, 𝜃1< 0)
  • ARMA(1,1) 모형 (Φ1 > 0, 𝜃1> 0)
  • ARMA(1,1) 모형 (Φ1 < 0, 𝜃1< 0)
  • ARMA(1,1) 모형 (Φ1 < 0, 𝜃1> 0)

ARMA(2,1) 모형

ARMA(1,2) 모형

ARMA(2,2) 모형

데이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ACF와 PACF의 패턴을 확인

  • 추가적으로 auto.arima()와 Arima() 함수를 사용하여 모형 추정
    • 주의> auto.arima() 남용하지말 것
    • auto.arima() 함수 이용시 mean 값을 포함하는 경우 → AICc값을 개선하는 경우가 된다.
    • 또한 -1<Φ<1 일 때, 0.99, 0.9, 0.8 등등 다양하게 생성시켜 비교해보기.

ARMA 모형 시뮬레이션


AR(1,1) 모형 (Φ1 > 0, 𝜃1 < 0)


# ARMA(1,1) 모형(Φ1 > 0, 𝜃1 < 0)

set.seed(1234)
arma_1_1 <- arima.sim(model=list(order=c(1,0,1),ar=0.7,ma=-0.2),n=200)
ggtsdisplay(arma_1_1)

Arima(arma_1_1,order=c(1,0,1))
auto.arima(arma_1_1)

 

ARMA(1,1) 모형 (Φ1 > 0, 𝜃1> 0)


set.seed(1234)
arma_1_1 <- arima.sim(model=list(order=c(1,0,1),ar=0.7,ma=0.2),n=200)
ggtsdisplay(arma_1_1)

Arima(arma_1_1,order=c(1,0,1))
auto.arima(arma_1_1)

 

 

ARMA(1,1) 모형(Φ1 < 0, 𝜃1< 0)


# ARMA(1,1) 모형 (Φ1 < 0, 𝜃1 < 0) 
set.seed(1234)
arma_1_1 <- arima.sim(model=list(order=c(1,0,1),ar=-0.7,ma=-0.2),n=200)
ggtsdisplay(arma_1_1)

Arima(arma_1_1,order=c(1,0,1))
auto.arima(arma_1_1)

 

 

ARMA(1,1)모형 (Φ1 < 0, 𝜃1> 0)


set.seed(1234)
arma_1_1 <- arima.sim(model=list(order=c(1,0,1),ar=-0.7,ma=0.2),n=200)
ggtsdisplay(arma_1_1)

Arima(arma_1_1,order=c(1,0,1)) # include.mean=FALSE 설정시 auto.arima함수와 동일 값 반환!
auto.arima(arma_1_1)

 

ARMA(2,1) 모형


# AR(2,1) 모형
set.seed(1234)
arma_2_1 <- arima.sim(model=list(order=c(2,0,1),ar=c(0.7,-0.6),ma=-0.4),n=300)
ggtsdisplay(arma_2_1)

Arima(arma_2_1,order=c(2,0,1))
auto.arima(arma_2_1)

auto.arima()의 남용하지 말아하는 이유는, 기존 Arima()를 사용했을 때 보다 AICc 값이 더 크게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ARMA(1,2) 모형


# AR(1,2) 모형
set.seed(1234)
arma_1_2 <- arima.sim(model=list(order=c(1,0,2),ar=0.8,ma=c(0.3,-0.5)),n=300)
ggtsdisplay(arma_1_2)

Arima(arma_1_2,order=c(1,0,2))
auto.arima(arma_1_2)

ARMA(2,2)모형


set.seed(1234)
arma_2_2 <- arima.sim(model=list(order=c(2,0,2), ar=c(0.7,-0.6), ma=c(0.3,-0.5)),n=300)
ggtsdisplay(arma_2_2)

Arima(arma_2_2,order=c(2,0,2))
auto.arima(arma_2_2)

 

ARMA 모형의 ACF 및 PACF


요약

참고사항 (ARMA 모형)

  • 시차 K > q-p 에서, 자기상관함수(ACF)는 자기회귀모형(AR)의 자기상관함수의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임
  • 시차 K > q-p 에서, 편자기상관함수(PACF)는 이동평균모형(MA모형)의 편자기상관함수의 형태인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임
  • 자기상관함수(ACF)와 편자기상관함수(PACF)는 시차 K가 커짐에 따라 각각 감소하는 형태를 보임

예제


Data

  • uschange Data (fpp2 packages)
  • US consumption expenditure
library(fpp2)
autoplot(uschange[,'Consumption']) + 
  xlab('Year') + ylab('Quarterly percetage'

정상성 확인


library(fpp2)
autoplot(uschange[,'Consumption']) + 
  xlab('Year') + ylab('Quarterly percetage')

ggtsdisplay(uschange[,'Consumption'])

H0 : 정상시계열이다

H1 : 정상시계열이 아니다

유의수준 1%

유의수준 0.01에서 임계값 0.739로 관측되었고, 이 때의 검정통계량은 0.2848로 관측되었습니다.

검정통계량은 유의수준 안에 들어오므로 귀무가설을 채택합니다.

즉, 정상시계열을 만족합니다.

모형 적합1 (auto.arima함수)


  • Auto.arima를 통해 적합 (non-seasonal ARIMA 사용)

모형 적합2 (Arima 함수)

  • 차수를 어떻게 정해햐 할지는 분석자가 결정해햐할 hyper parameter임
  • Arima(uschage[,'Consumption'], order=c(?,0,?)) → 여기서 적절한 p, q 값은?

모형적합 1 (auto.arima 사용)


  • auto.arima를 통해 적합 (non-seasonal ARIMA 사용)

    → 위의 식에서 sigma^2의 값은 0.3499

  • ARIMA(1,0,3)으로 모형 적합

  • C = 0.7454*(1-0.589) = 0.307
  • 𝜀t (백색잡음) → 표준편차가 0.592 = sqrt(0.350)

모형 적합2 (Arima 함수로 적합)


  • 차수를 어떻게 정해야 할까?
  • Arima(uschange[,'Consumption'],order=c(?,0,?))

    **ggAacf(uschange[,'Consumption'])**

       **ggPacf(uschange[,'Consumption'])**

비교


summary(적합모형)

  • 여기서 fit 변수는 auto.arima, fit_1은 Arima(3,0,0) 적합모형을 뜻함

두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AICc와 RMSE를 기준삼아 평가해보겠습니다.

  • 먼저 auto arima를 사용한 fit의 summary의 AICc는 후자 Arima(3,0,0) 모델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auto.arima가 항상 좋은 평가만 내지 않는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예제가 됩니다.

  • 다음으로는 RMSE(Roort mean squre error)입니다. 실제 오차값과 차이가 적을수록 좋은 모델로 평가됩니다. 여기서는 auto.arima()를 이용한 fit이 에러가 더 작게 나왔습니다.

잔차 확인


여기서 fit 변수는 auto.arima, fit_1은 Arima(3,0,0) 적합 모델임.

checkresiduals(fit) # auto.arima는 ARIMA(1,0,3)으로 예측 
checkresiduals(fit_1) # Arima()는 ARIMA(3,0,3)으로 적합

Source


https://otexts.com/fppkr/arima-estimation.html

https://datascienceschool.net/view-notebook/9cbbfed6d6f34f02a2cdaa422706be91/

728x90
Comments